본문 바로가기
정신 건강과 몸 건강의 일체화

불안해서 미칠 것 같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? [불안할 때 당장 해야 할 신체 활동 6가지]

by Monkey-7 2025. 1. 30.

혹시 지금 심장이 너무 두근거리고 답답하시나요? 불안해서 미칠 것 같나요? 숨쉬기 힘들고 가슴이 답답한가요? 너무 불안하고 심장이 답답할 때, 즉각적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신체 활동을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다음과 같은 신체 활동을 따라 하여 불안감을 완화시켜 보세요. 모두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법들이며, 정신과에서 알려주는 방법이기도 합니다.


1. 4-7-8 호흡법 → 불안 완화 효과

방법:

  1. 코로 4초 동안 천천히 숨을 들이마신다.
  2. 7초 동안 숨을 참는다.
  3. 입을 오므려서 8초 동안 천천히 숨을 내쉰다.
  4. 이 과정을 4~5번 반복한다.

효과:

  • 심장 박동수를 낮추고, 교감신경(불안 유발)을 억제함
  • 공황 발작이나 심한 불안감이 올라올 때 빠르게 진정시킴

2, 손발에 힘 꽉 주고 풀기→ 근육 이완법

방법:

  1. 주먹을 꽉 쥐고 5초간 힘을 준다.
  2. 그다음 힘을 완전히 빼면서 이완되는 걸 느낀다.
  3. 손만이 아니라 발가락, 어깨, 등도 같이 해주면 효과적이다.

효과:

  • 근육을 일부러 긴장시켰다가 푸는 과정에서 전신 긴장이 풀림
  • 심리적으로도 ‘긴장을 조절할 수 있다’는 느낌을 줌

3. 전력 질주 or 점프 30초 →아드레날린 방출

방법:

  1. 30초 동안 전력 질주하거나,
  2. 가만히 서서 전신 점프를 30초간 반복한다.

(만약 밖에 나가기 어렵다면 제자리 뛰기도 가능!)

효과:

  • 불안할 때 몸에 남아 있는 불필요한 아드레날린을 소모하게 함
  • 운동 후 심박수가 안정되면서 뇌가 ‘도망칠 필요가 없다’고 인식함

불안감은 몸이 ‘위험한 상황’이라고 착각해서 생기는 반응입니다. 강한 운동을 하면 ‘이미 싸웠다, 도망쳤다’라고 뇌가 착각해서 불안을 줄여줍니다.


4. 리드미컬한 걷기 → 호흡과 심박수 조절

방법:

  1. 음악을 들으며 일정한 박자로 걷기
  2. 걷는 동안 배로 깊은숨을 쉬기
  3. 가능하면 자연 속에서 걷기 (공원, 강변, 산책로 등)

효과:

  • 일정한 박자로 움직이면 심박수가 조절되면서 불안감이 완화됨
  • 바깥 공기를 마시며 걸으면 뇌에서 세로토닌(기분 안정 호르몬)이 증가함
  • ‘불안할 땐 무조건 밖으로 나가서 걷자’라고 습관을 들이면 효과적입니다.

5. 복식호흡 (배로 깊이 숨쉬기) → 부교감신경 활성화

원리:

  • 불안할 때는 교감신경(위기 반응)이 활성화되면서 호흡이 얕고 빠르게 변합니다.
  • 복식호흡을 하면 부교감신경(이완 반응)이 활성화되면서 심박수가 낮아지고 긴장이 풀립니다.
  • 실제로 복식호흡은 불안장애, 공황장애 치료에도 사용되는 과학적으로 검증된 방법입니다.

✔ 방법 (기본 복식 호흡법)

  1. 한 손을 배 위에 올리고, 다른 손을 가슴에 둔다.
  2.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면서 배를 풍선처럼 부풀린다.
  3. 입을 살짝 벌려서 길게 "후~~" 소리를 내며 숨을 내쉰다. (배가 천천히 꺼지는 걸 느낄 것)
  4. 이걸 4~5번 반복하면서 점점 숨을 깊게 쉬도록 한다.

TIP:

  • 숨을 내쉴 때 내쉬는 시간을 더 길게 하면 효과가 더 커집니다!
  • "들이마시기 4초 → 내쉬기 6~8초" 이런 식으로 하면 부교감신경이 더 활성화됩니다.
  • 숨 쉴 때 배를 의식적으로 부풀리고 내리는 게 중요합니다.

6. 나비 포옹법 (Butterfly Hug) → 심리적 안정감 증가

원리:

  • 나비 포옹법은 양쪽 뇌를 동시에 자극해서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.
  • 원래는 PTSD(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) 치료에서 사용되는데, 불안과 공황 발작 완화에도 효과적입니다.
  • 가슴을 두드리는 리드미컬한 자극이 엄마가 아기를 토닥이는 효과와 비슷하게 작용해서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방법입니다.

✔ 방법 (나비 포옹법)

  1. 양손을 교차해서 손등이 쇄골 아래에 닿도록 가슴 위에 올린다.
  2. 엄지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해서 나비 모양을 만든다.
  3. 양손을 번갈아 가며 ‘톡톡톡’ 가볍게 두드린다. (좌 → 우 → 좌 → 우)
  4. 두드리는 동안 깊게 숨을 쉬면서 "괜찮아, 나는 안전해"라고 스스로 말해준다.

TIP:

  • 눈을 감고 하면 더 효과가 좋습니다.
  • 가슴이 답답할 때 하면 심박수가 안정되면서 불안이 줄어듭니다.
  • 꼭 두드리지 않아도 손으로 감싸기만 해도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습니다!

7. 스스로 안아주기 → 옥시토신 분비 증가

원리:

  • 누군가에게 안기거나, 스스로 안아주는 행동을 하면 옥시토신(안정 호르몬)이 분비됩니다.
  • 옥시토신은 스트레스를 줄이고,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.
  • 연구에 따르면 스스로 안아주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 호르몬(코르티솔)이 감소합니다.

✔ 방법 (셀프 허깅)

  1. 양손으로 자신의 어깨나 팔을 감싸 안는다.
  2. 천천히 숨을 쉬면서 "괜찮아, 나는 안전해"라고 속으로 되뇐다.
  3. 살짝 흔들어 주면서 안정감을 느낀다.

TIP:

  • 몸을 좌우로 살짝 흔들면 엄마가 아기를 안고 흔들어주는 효과가 있어서 안정감이 더 커집니다.
  • 포옹하는 힘을 너무 세게 하지 말고, 적당히 편안한 정도로 감싸주세요.
  • 눈을 감고 조용한 곳에서 하면 더 효과적입니다.

결론: 불안할 때 위의 7가지 방법 조합하기!

  1. 4-7-8 호흡법으로 심박수 조절
  2. 손발에 힘 꽉 주고 풀기로 근육 긴장 해소
  3. 전력 질주 or 점프로 불필요한 아드레날린 소모
  4. 리드미컬한 걷기로 호흡과 심박수 조절
  5. 복식호흡 → 심박수 낮추고 부교감신경 활성화
  6. 나비 포옹법 → 뇌를 안정시키고 감정 조절
  7. 스스로 안아주기 → 옥시토신 분비로 안정감 증가

실제로 불안할 때 위 방법 중 여러 가지를 같이 하면 효과가 배로 커집니다!

지금 당장 한번 해보세요. 천천히 호흡하면서 몸을 안아주면 훨씬 나아질 거예요.

!! 불안할 때 피해야 하는 행동 !!

다음 행동은 오히려 불안을 키울 수 있습니다.

과호흡 (숨을 너무 많이 들이마시는 것) : 불안할 때 "하아...하아..." 하고 숨을 가쁘게 쉬면 더 어지럽고 답답해짐

몸을 웅크리고 가만히 있기 : 가만히 있으면 불안한 생각이 점점 커짐

카페인, 알코올 섭취 : 커피, 에너지 음료, 술은 불안을 악화시킴

반응형